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폭싹속았수나 애순이 숨병 대체 왜 그렇게 빨리 죽은거냐

by h.ee 2025. 3. 13.
반응형

숨병은 제주도 해녀들이 장기간 물질(해녀 작업)을

하면서 겪는 잠수병의 일종입니다.

 

 

숨병(숨빼앗김) 개념

해녀들이 깊은 바닷속에서 오랜 시간 작업한 후 

수면으로 급하게 

올라오면서 체내에 녹아 있던 질소가 기포로

 변해 혈관을 막는 증상입니다.

일반적인 잠수병과 비슷하지만, 제주 해녀들은 오랜 세월 동안

이를 '숨이 빼앗긴다' 는 의미로 숨병이라고 불렀습니다.

 

 

정확한 병명은 없는건가?

숨병은 제주 해녀들이 전통적으로 부르는 용어이며, 
의학적으로는 잠수병 또는 감압병
신경계 영향이 큰 형태의 잠수병에 해당합니다.
정확한 병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잠수병 깊은 물속에서 일정 시간 머문 후 빠르게 수면으로 상승할 때
체내에 녹아 있던 질소가 기포로 변해 혈관 및 조직을
막으며 발생하는 증상 해녀들이 겪는 "숨병"은 이 감압병의 한
형태 타입 2 감압병(Type II DCS) 신경계, 호흡기계, 심혈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심각한 형태 해녀들이 경험하는 호흡곤란, 마비,
피로감 등과 유사 고압성 신경증(Hyperbaric Neuropathy)
반복적인 잠수로 인해 신경계에 영향을 주는 병으로, 만성적인
신경 손상과 관련 있음

👉 즉, 숨병은 제주 해녀들이 경험하는 잠수병의 특수한 형태이며
해녀들의 작업 방식(반복적 잠수, 얕은 수심에서의 작업)
때문에 일반적인 스쿠버 다이버의 잠수병과는 증
상의 양상이 조금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뇌출혈처럼 갑자기 죽는건가?
숨병(잠수병, 감압병)이 뇌출혈처럼 즉사하는 경우는 드뭅니다.
하지만 중증 감압병이 발생하면 심각한 신경
손상이나 심장 마비, 호흡 부전으로 급사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숨병의 주요 증상

 

호흡곤란 – 숨을 쉬기 어렵거나 가슴이 답답함
관절 통증 – 특히 어깨, 팔, 무릎 등의 관절이 쑤시고 아픔
현기증, 어지럼증 – 귓속의 압력 변화로 인해 균형 감각 이상
피로감 및 무기력함 – 심한 피로와 탈진 상태
신경 이상 – 마비 증상이나 감각 둔화


숨병의 원인
빠른 부상(浮上, Surfacing): 해녀들이 숨을 오래 참았다가 
한 번에 빠르게 수면으로 올라올 때 발생

반복된 물질 작업: 하루에도 여러 차례 바다에 들어갔다 
나오기를 반복하며 체내에 질소가 축적됨

충분한 휴식 부족: 일정 시간 쉬지 않고 연속적으로 잠수



예방법

천천히 상승
수면으로 올라올 때 단계적으로 멈추며 천천히 상승

충분한 휴식 
물질 후 일정 시간 쉬어 체내 질소를 배출

적절한 수분 섭취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기포 생성을 줄임

과로 방지 
하루 작업 횟수를 조절하여 체내 질소 축적을 방지

산소 치료 
증상이 나타나면 빠르게 **고압산소 치
료(산소 캡슐)**를 받아야 함

 

숨병 치료법
고압산소 치료(Hyperbaric Oxygen Therapy): 
고압 환경에서 순수 산소를 흡입하여 체내 질소 기포를 제거
수액 공급 및 휴식: 수분 보충과 충분한 휴식을 통해 자연 회복

 

숨병은 치료하지 않으면 만성 관절통, 신경 장애 등

심각한 후유증을 남길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제주 해녀들은 오랜 경험을 통해 자연적으로 숨병을 예방하는 

요령을 익혀왔지만, 현대의학적 치료와 예방도 병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댓글